티스토리 뷰
목차
매년 돌아오는 재산세 고지서, 언제 납부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?
2025년에도 재산세는 1년에 두 번, 7월과 9월에 나눠 납부하게 됩니다. 하지만 납부 기간을 놓치면 가산금이 붙거나 불이익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일정과 납부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과 함께 기한을 놓쳤을 때 생기는 문제, 알림 신청 방법, 절세 팁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
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3%의 가산금이 붙습니다.
✔️ 1기분 재산세
- 납부 기간: 2025년 7월 16일(수) ~ 7월 31일(목)
- 대상: 주택의 1/2 + 건축물 등
✔️ 2기분 재산세
- 납부 기간: 2025년 9월 16일(화) ~ 9월 30일(화)
- 대상: 주택 나머지 1/2 + 토지
재산세는 2번 내는 이유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.
하지만 한 번에 전부 내는 게 아니라,
주택은 1년치 세금을 7월과 9월, 두 번으로 나눠서 고지됩니다.
- 1기분: 주택 세금의 절반 + 건물 등
- 2기분: 나머지 절반 + 토지
납부기한 놓칠 때 불이익
재산세는 정해진 날짜 안에 꼭 납부해야 합니다. 납부 기한을 넘기면 3% 가산금이 추가되며, 지속적으로 미납될 경우 압류나 공매 등의 행정처분도 받을 수 있습니다.
게다가 9월 납부를 놓칠 경우, 종합부동산세 기준과 맞물려세금 부담이 더 커질 수도 있어 각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.
절세 가능한 경우
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은 세액 감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만 60세 이상 고령자
- 장기보유자 (5년 이상)
- 1가구 1주택자
- 일정 기준 이하의 저가 주택 보유자
감면은 자동 적용이 아니므로 반드시 세무서나 시청 세무과에 신청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