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중위소득은 ‘세전 소득’을 기준으로 합니다. 다시 말해, 정부에서 발표하는 중위소득 금액은 세금이나 4대 보험을 떼기 전의 금액이라는 뜻이죠. 우리가 실제로 손에 쥐게 되는 ‘세후 소득’과는 차이가 있습니다.
2025년 중위소득 100% 금액
2025년 기준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기준 중위소득 100%는 다음과 같습니다. 중위소득이란 전국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하며, 각종 복지 지원의 핵심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100% (세전, 월 기준) |
---|---|
1인 가구 | 2,392,013원 |
2인 가구 | 3,932,658원 |
3인 가구 | 5,025,353원 |
4인 가구 | 6,097,773원 |
5인 가구 | 7,025,859원 |
6인 가구 | 7,908,449원 |
2025년 기준 중위소득 세전 vs 세후 비교표
중위소득은 세전 금액을 기준으로 하며, 실제로 손에 쥐는 돈은 세금과 4대 보험 공제 후의 '세후 금액'으로 더 적습니다. 아래 표는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100%의 세전 월소득과 예상 실수령액(세후)을 비교한 내용입니다.
예를 들어,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%인 6,097,773원을 월급처럼 받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 아래는 세금과 4대 보험을 공제한 대략적인 실수령액입니다.
- 국민연금: 약 4.5%
- 건강보험 + 장기요양: 약 3.5~4%
- 고용보험: 약 0.9%
- 소득세 + 지방소득세: 누진세율에 따라 달라지나, 연소득 7,300만 원 기준 약 13~17%
이를 종합하면 총 공제율은 약 25~30% 수준이며, 실제 손에 쥐는 돈은 월 약 4,400,000원 내외로 계산됩니다. 물론 이는 인적공제나 추가 소득공제 여부에 따라 더 줄어들 수 있습니다.
가구원 수 | 세전 금액 (중위소득 100%) | 예상 세후 금액 (실수령) |
---|---|---|
1인 가구 | 2,392,013원 | 약 1,750,000원 |
2인 가구 | 3,932,658원 | 약 2,950,000원 |
3인 가구 | 5,025,353원 | 약 3,750,000원 |
4인 가구 | 6,097,773원 | 약 4,450,000원 |
5인 가구 | 7,025,859원 | 약 5,100,000원 |
6인 가구 | 7,908,449원 | 약 5,700,000원 |
7인 가구 | 8,764,010원 | 약 6,300,000원 |
8인 가구 | 9,594,778원 | 약 6,850,000원 |
※ 세후 금액은 예상값으로, 국민연금·건강보험·고용보험·소득세 등의 공제를 평균 25~30% 반영해 계산했습니다. 실제 공제액은 직장 유무, 가족 수, 소득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
중위소득 계산기
우리 가구의 세전 월소득이 중위소득 몇 %인지 계산하려면 아래 공식을 참고하세요.
(우리 가구의 세전 월소득 ÷ 해당 가구 중위소득 100%) × 100 = 중위소득 대비 비율 (%)
예를 들어, 3인 가구에서 월 소득이 400만 원이라면, 2025년 중위소득 100%(5,025,353원)를 기준으로 약 79.6% 수준에 해당합니다.